영상제작을 하기로 하셨다면 우선적으로 촬영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촬영 진행하기 전에도 우선적으로 원고, 영화로 치면 시나리오, 드라마로 치면 대본이 있어야 합니다. 영상의 목적이나 시청을 할 대상에 따라 영상의 분위기가 결정되니 이를 참고하고 원고 및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원고는 잘 쓸 필요 없고 완성될 영상을 머릿속으로 그려보면서 첫 장면은 이런 장면, 다음은 이런 장면 식으로 메모장이든 한글이든 워드든 아니면 스마트폰에 적으면 됩니다. 그럼 이 간단한 원고를 가지고 촬영을 하고 촬영된 영상을 가지고 편집을 하면 됩니다. 편집을 하기 전에 아까 썼던 원고를 조금 더 자세하게 풀어냅니다. 이것은 편집의 나레이션을 위한 작업입니다. 만일, 나레이션이 없다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원고의 내용을 풀어내는 것입니다. 자신이 찍은 영상, 준비한 이미지를 토대로 영상의 순서를 글로 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일, 조금 더 추가하고 싶은 내용은 글로 써보고 그에 맞추어서 이미지나 추가 촬영을 하면 되는 것입니다. 나레이션을 하신다면 이 원고를 토대로 나레이션 녹음을 하시면 됩니다.
영상 파일을 보관하는 방법은 촬영된 영상, 이미지 파일을 내용의 순서에 맞게 번호를 매깁니다. 01, 02, 03… 이런 식으로 번호를 매기는 것입니다. 대본 또는 원고가 있으면 그 내용에 맞게 영상 파일에 번호를 메겨서 한 폴더 안에 보관을 합니다. 여러 개의 영상을 만들 경우에는 영상 개수에 맞게 폴더를 만드는데 폴더도 날짜나 내용을 적어서 구분을 할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 시 프로젝트 파일도 원본 영상이 있는 폴더에 보관하는게 좋습니다.
편집을 시작하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막막 해집니다, 그래서 영상 편집을 하는데 쉽고 빠르게 하는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편집 프로그램으로 가서 기본이 되는 영상 즉, 나레이션 음성이나 메인이 될 영상을 두고 그 위에 번호를 매긴 영상이나 이미지를 순서대로 배치를 한 후에 나레이션이나 메인 영상의 내용에 맞게 영상이나 이미지의 길이를 조절해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화면전환이나 필터를 넣거나 자막 작업을 진행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1. 메인 영상, 나레이션 녹음 파일 (내용이 가장 잘 나타나는 영상 또는 음성)을 메인 트랙에 놓고
2. 트랙을 하나 만들어서 그 위에 폴더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매긴 영상을 올려 놓기
3. 내용에 맞게 길이를 줄이면서 컷 편집 하기
4. 그 후에 화면전환, 효과 넣기 마지막으로 자막 넣기
이는 프리미어 프로나 다빈치 리졸브 같은 pc 편집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키네마스터, 블로 같은 모바일 편집 어플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그냥 생각나는 대로 영상 이어 붙이기 하여도 무관하지만 무작정하는 것보다 체계적으로 하시면 영상 편집 작업이 빨리 끝날 수 있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영상 제작 코칭 기관 및 단체 영상 제작 강의는 비디오코치입니다.
문의는 아래 오픈 채팅 링크나 전화 문의 바랍니다.
비디오코치의 동영상으로 진화하기
#무료영상편집프로그램 #스마트폰촬영#영상편집강의#영상편집교육#뱁믹스2#다빈치리졸브#영상제작코칭#영상제작컨설팅#동영상강의제작#영상으로돈벌기
open.kakao.com
TEL : 010-7390-0067
'영상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촬영 세팅 시, 노출과 포커스(초점)가 맞는지 확인하는 법 - 제브라(zebra)와 피킹(peaking)! (1) | 2022.12.09 |
---|---|
카메라 DSLR 과 미러리스 (mirrorless)의 차이 (2) | 2022.12.07 |
영상 촬영 세팅 시, 용어 정리 - 포커스(focus), 초점 (2) | 2022.11.23 |
영상 편집 초보자는 어떤 프로그램을 써야 하나? 무료 영상 편집 프로그램 뱁믹스2와 다빈치 리졸브 (0) | 2022.11.10 |
영상 촬영 세팅 시, 용어 정리 - 화이트밸런스 (White Blance), k값 (0) | 2022.11.10 |